세마전자 SHD-G9 은 공유기와
외장하드가 결합된 퓨젼 제품으로
공유기 NAS 외장하드 서버등의 복잡한 구조를 하나로 결합시킨
스마트한 휴대용 유/무선
스토리지입니다
홈/사무실/관공서/학교/학원 매장등 다양한 활용범위를 갖고
있으며 초보자들도 쉽게 사용할수 있도록
간편화시킨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기존 공유기에 하위로
연결해서 사용할수있는것은 기본이며 자체적으로
유/무선 공유기능을 내장하고 있어 공유기가 없는 환경에서도
별도의 장비 없이 손쉽게 연결해
사용할수 있는
제품입니다. 필자의 경우에도 USB외장하드를 항상 사용해오고 있지만 USB 전용하드 특성상
불편한점이 많습니다.
SHD-G9은 네트워크기능을 추가시켜 편리함을 추구한 높은 실용성을 갖고있는 아이디어
제품입니다
제품 살펴보기
본체/메뉴얼/랜선/USB케이블/전원어댑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전원 어댑터는 공유기와 하드의 충분한 전력공급을 위해 12V/1.5A 고출력 제품이
채용되었습니다
컬러화된 메뉴얼은 이해하기 쉽도록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제품 외형입니다.
언뜻보면 1안테나 공유기처럼 보입니다. 안테나 크기에 비해 부피가 큰이유는
3.5" 외장하드를 장착할수 있도록 넓게 설계 되었기 때문입니다
제품 하단부는 발열을 위해 수많은 에어홀이 밀도있게 형성되어 있습니다
제품 후면부로 리셋/전원 단자/USB3.0/PC포트/인터넷 포트/안테나 등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커버를 열면 공유기 외장하드콘트롤 PCB, HDD를 장착할 넓은 공간을 볼수
있습니다
HDD
좌우에 장착할 댐퍼 2개, 미끄럼 / 진동방지 고무받침대 2개(2개는 기본적으로
제품
바닥면에 부착되어 있습니다), 커버 고정용 스크류 2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HDD 장착
먼저 HDD 좌우로 댐퍼를 고정시킵니다
케이스
내부의 SATA 포트와 하드디스크의 SATA 연결부를 서로 맞춰서 장착해줍니다
하드를 대각선으로 잡고 SATA포트와 맞춘후
가볍게 살짝 밀어내리면서 장착하면 쉽게 장착됩니다
장착후에는 함께 제공된 여분의 나사로 케이스를
조이고 고무받침대를 붙여주면 조립완료입니다
주의할점은 잘 안맞는경우 무리하게 시도하지말고
다시 잘 맞춰서
장착해야됩니다.
무리하게 시도하면 하드 무게와 악력에 의해 SATA포트를 손상시킬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합니다
상판 커버를 닫고 함께 제공된 나사를 조인후 고무 받침대의 스티커를 떼고 붙여주면
완료입니다
조립완료후 전원을 넣으면 동작램프에 불이 들어와 동작상황을 알려줍니다
램프 색상에 다른 동작상황
USB3.0 외장하드 모드
동봉된 USB3.0 케이블을 이용해
SHD-G9 외장 스토리지와 PC의 USB3.0포트를 서로
연결해줍니다. (2.0포트밖에 없는 경우에는
2.0포트에 연결합니다)
기존의 일반 USB 외장하드 사용방법과 동일하며 USB모드로 동작시 유/무선
공유기능은 정지됩니다
USB 2.0
성능 테스트
(본체뒤 포트에 직접연결해도 결과는
같습니다)
USB3.0
성능 테스트
USB3.0포트에 연결후 테스트한 결과,
내장 SATA3에 버금가는 성능을 보여줍니다
SATA3 메인보드 내장하드 성능 (SATA3
포트)
OS가
설치되어있는 드라이브라 성능이 다소 낮게나온 부분은 있습니다
1분동안 악세스가 없을시 절전을 위해 자동으로 대기모드로
진입하게 되며
USB
외장하드로 작동시 유/무선 네트워크 기능은 중지됩니다
유/무선 네트워크 스토리지
전원, PC, 인터넷선 (또는 상위공유기)을 각각 연결해줍니다
유선으로 연결후 명령프롬프트창에서
IPCONFIG 를 입력해보면 SHD-G9에서 할당한
아이피주소와 기본 게이트웨이 주소를 볼수 있습니다
SHD-G은 10.10.10.254의 내부 아이피주소를 갖고
있습니다
게이트웨이 주소(내부 아이피주소)
10.10.10.254를 주소창에 입력, SHD-G9 내부로
진입합니다
상태
정보
제품 상태정보를 요약해서 보여줍니다
공유기가
생소하신분들에게는 다서 어려워보일수 있으나 막상 알고보면 쉬운 내용들입니다
SHD-G9은 초보자들도 쉽게 사용할수 있도록 일반 공유기에
있는 복잡한 내용들을 모두 제거하고
최대한
단편화시켰습니다
설치
마법사
공유기를 사용해보셨던 분들에게는 익숙한
화면입니다
외장스토리지에 접근시 사용할 관리자
아이디와 비번을 설정하는곳으로,
초기비번은 admin, admin 으로 되어있으며 DDNS으로 이용시 아이디와 암호를
변경해두지
않으면
아무나 도메인으로 외장스토리지에 접근할수 있게 되므로 반드시 변경해서 사용해야 됩니다
SHD-G9 하드 탑재 기능을 갖춘 공유기 이기때문에 공유기
없는 환경에서도
인터넷 회선만 가입되어있으면 곧바로 연결해서
사용할수 있습니다. 사용중인 인터넷이
일반 광랜이면 유동 IP 방식을 선택,
학교/기업/관공서등 고정아이피 환경이면 "고정 IP 방식"을 선택후
전산관리자로부터 할당받은 아이피를 입력해서 사용하면 됩니다
PPPOE
방식은 지원하지 않으므로, 이경우에는 상위로 일반 공유기 한대를 두고
하위로 SHD-G9 을 연결해서 사용하면 됩니다.
고정아이피 환경
학교/사무실/관공서/기숙사등의 고정아이피 환경에서 할당받은 아이피를
아래 공란에 모두 입력하면 됩니다. 가용 고정아이피 정보는 전산관리에게 받을수
있습니다
와이파이 보안설정을 하는곳으로 아래와같이 WPA2-PSK . AES 선택후, 8자리 이상의 암호를
설정합니다
현재
가장 안전하고 빠른 보안등급은 WPA2-PSK . AES 이므로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항상
이
설정으로 두고 쓰면 됩니다. 보안설정을 하지 않을시,
자료유출의 위험이 있으므로 반드시 설정하는게
좋습니다
광대역에서 외장하드로 접속시 DDNS 를 등록해 쉽게 접근할수 있습니다
DDNS는 주기적으로 바뀌는 외부 아이피 (ISP 임대 아이피)의 불편함을 해소하기위해 아이피가
아닌
도메인으로 접근하는 방식으로 SHD-G9에서는 기본적으로 DDNS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DDNS가 정상적으로 등록되어 작동하고 있는지는 핑테스트로 확인할수
있습니다
상위로
공유기가 있는 경우 포트포워딩, DMZ, UPNP 3가지 기능중 택일할수 있습니다
(UPNP기능이
없는 공유기는 포트포워딩이나 DMZ로 설정합니다)
상위 공유기가
UPNP를 지원할 경우
가장 쉽고 빠른 방법으로 상의 공유기의 랜포와 SHD-G9의 인터넷포트를
연결
SHD-G9의 PC포트는 PC와 연결해준뒤 상위공유기의 UPNP를 활성화 시켜주면
됩니다.
상위 공유기가 UPNP를 지원하지 않을 경우
간단히, 상.하위 공유기의 연결순서를 변경해줍니다. 주 인터넷선을 SHD-G9의 인터넷포트에
연결
SHD-G9의 PC포트와 상위공유기의 인터넷포트를 연결 PC는 상위공유기의 랜포트와 연결해줍니다
상위 공유기가 UPNP를 지원하지 않고 기기의 연결순서를 변경이 불가능한
경우
IPTV용 임대공유기 / IPTV 셋톱박스 / 단자함 내부 공유기등
여러가지 원인으로 인해
기기의 연결순서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포트포워딩이나 DMZ로
설정합니다
이 경우,
SHD-G9의 외부아이피를 고정아이피로 설정해두고 클라우드 포트는 수동으로
설정해준뒤 포트포워딩이나 DMZ를 설정해주면 됩니다.
외부 고정아이피
설정방법
인터넷 연결방식을 고정아이피로 선택후, 상위공유기에서 할당하는 아이피를
수동으로 입력해줍니다.
가령, 상위공유기가
192.168.5.101/255.255.255.0/192.168.5.1/168.126.63.1/168.126.63.2
의
아이피를 할당한다면 다음과같이 입력해줍니다
위와같이
외부아이피 (인터넷연결 아이피)를 고정아이피로 설정후, 상위공유기에서
포트포워딩이나 DMZ 둘중 하나를 설정해줍니다. 둘다 설정할 필요는 없으며 동시에
설정하더라도
포트포워딩이 DMZ에 우선하며 DMZ보다 안정적이므로 가급적 포트포워딩으로 설정하는게 좋습니다
포트포워딩
DMZ
DHCP
고정아이피 기능이 있는 공유기는 좀더 수월하게 설정할수 있습니다
SHD-G9의 맥주소를 상위공유기의 DHCP 고정아이피 항목에 입력하고,
고정적으로 할당할
아이피를 함께 입력해주면 이후부터는 SHD-G9는 항상 지정된 아이피를
독점하게됩니다
SHD-G9의 외부아이피를
수동으로 입력할 필요 없이 초기값인 유동아이피 상태로 두면 됩니다.
이 기능을 이용하면 DMZ나
포트포워딩이 훨씬 수월해집니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게 일반 사제공유기들은 별 문제가 없는
반면,
IPTV나 인터넷 결합상품 가입시 임대되는 장비들은 DMZ나
포트포워딩등이 제대로 안되는 모델들이
많으므로 DDNS가 정상동작하지 않으면 반드시 임대장비의 상태부터
체크해보는게 좋습니다
인터넷
설정
인터넷 연결방식을 유동IP, 고정아이피
방식으로 선택할수 있고, MAC 주소복사는
케이블티비모뎀
사용시, 맥주소 제한으로 광대역 연결이 안되는경우 사용함으로 설정하면
PC의
맥주소를 공유기의 WAN에 복사해 정상적으로 사용할수 있도록 해줍니다
네트워크
설정
인터넷포트의
기능 변경및 내부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를 설정할수 있습니다
보안설정은 WPA2PSK, AES를 표준으로
하며, 구형단말기나 호환성에 문제있는
단말기들을 사용시 WPA2PSK TKIP&AES나 WPAPSK혼합모드 TKIP&AES 모드로
설정합니다
내부
네트워크 설정의 호스트 이름이 변경 안되는 부분은 펌웨어 수정 배포예정입니다
DLNA는 여러기기에서 다양한 미디어 컨텐츠(음악/사진/동영상)를 공유하고
재생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으로 활성화 시키려면 사용함 으로 설정합니다
핫스팟
모드
인터넷포트에 인터넷선을 연결한 상태에서 전원
ON, 또는 재부팅시 WAN포트는 외부아이피를
받는 광대역모드로 동작하게 됩니다. 인터넷
선을 빼둔 상태에서 전원 ON 이나, 재부팅을 하게되면
핫스팟모드로 전환되어 WAN포트는 SHD-G9의 DHCP서버의 아이피를 할당하는 일반
랜포트로
전환되어
동작하게됩니다.
즉, 기존의
PC포트 1개와 같은 기능을 하게되어 PC 1대를 추가로 연결해서 사용할수 있게
되거나
하위로 공유기나
허브를 물려 사용할수도 있습니다
랜선 착탈 유무와 상관없이 패시브로
WAN이나 LAN으로 사용하고자 할때에는 수동 설정을
선택후
원하는 동작모드를 선택하면 됩니다
LAN모드 (자동.수동)로 부팅후 상단 주메뉴를 보면 핫스팟모드로 변경된것을 볼수
있습니다
핫스팟 모드로 변경되어도 내부 DHCP서버는
기존과 동일하게 동작하며
SHD-G9의 광대역 연결부분만 유선이
아닌 무선으로 연결(핫스팟)하는 모드로 바뀌게 됩니다.
AP목록에서 자신의 무선 공유기를 찾아 링크시키면 광대역으로의 접속이
완료됩니다
상태 정보란을 보면 무선으로 연결된 상태정보를 볼수 있으며 좌측이
핫스팟 대상인 TP-LINK 공유기
우측이 SHD-G9 입니다. TP-LINK로부터 1개의 아이피를 무선으로 할당받아 SHD-G9에
접속하는
기기들에게 내부 DHCP 서버 범위안의 아이피로 재할당하게 됩니다
USB3.0
외장 스토리지
기존의 다양한 USB 외장하드처럼 특정 PC나 서버 , USB외장스토리지를 지원하는
공유기등에
장착 사용
가능하며 네트워크 드라이브, 공유폴더등 순수 USB장치로만도 사용할수
있으며
USB3.0의
높은 퍼포먼스때문에 단순, 로컬 저장용도로만 써도 최상의 성능을 보여줍니다
SHD-G9은
1분동안 악세스가 없으면 자동으로 대기모드로 진입합니다
로컬서버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선택
검색된 STORYLINK를 선택합니다
기본암호는 admin, admin이며 보안을 위해 변경해두는게 안전합니다
위와같이 드라이브로 연결해도 되고 좌측 하단의 네트워크 아이콘을 클릭해
곧바로
폴더내로 진입해 사용할수도 있습니다. 사용자 편의대로 설정해서 사용하면 됩니다
여기서 잠깐,
관리자폴더 <-> 게스트폴더를
동시에 접속하려고 하면 다음과같은 메시지를 볼수 있습니다
해결책은 메시지에
나와있는대로 기존 연결을 끊고 다시 접속하면 됩니다

명령프롬프트에서 수동으로 연결해제후 다시
접속합니다.
1.
네트워크 연결 목록 확인 c:\>net
use
2.
공유폴더 연결해제 c:\>net
use \\공유폴더 /delete
3.
전체 연결해제 c:\>net
use * /delete
2번보다는, 3번 방법으로 전체
연결해제후 다시 폴더로 접근하는게 쉽습니다

매번 입력하기 귀찮으면 배치파일을 만들어서 사용해도 됩니다
알드라이브
SHD-G9의 내부주소
10.10.10.254 포트 21 로 접속하면 SHD-G9 으로 접속할수 있습니다
한글이 깨져 나오면 접속하기의 고급설정에서 UTF-8 강제 설정하기에 체크후
접속합니다
노트북및
데스크탑 무선랜카드를 이용한 접속
AP리스트에서
STORYLINK-G9 을 찾아서 접속합니다.
무선은 보안에
취약하므로 반드시 무선보안을 설정해서 써야합니다.
외장하드
내부보안설정에서
WPA2/PSK, AES를 표준으로 설정하고,
접속하는 단말기들이 구형이거나 호환성에 문제를
일으키는것들이 있으면 WPA2PSK, TKIP&AES 혼합모드로
설정해줍니다
무선이냐 유선이냐의 차이일뿐 무선랜카드로 접속후
사용방법은
유선과 동일합니다
세마
스마트 eHDD 앱
앱스토어에서 SEMA SMART eHDD 앱을 다운받아
설치합니다
스마트폰 파일 관리
스마트폰 파일관리는 스마트폰 내부의 파일 관리및 미디어파일을 재생할수
있습니다
시스템파일을
건드릴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합니다
상단 2개의 탭중 좌측은 스마트폰, 우측은 스토리 링크 홈으로
되어있습니다
스마트폰에 저장된 동영상이나 이미지 파일들을 외장스토리지로 복사하려면 다음과
같이합니다
외장하드를 먼저 연결해두고 스마트폰관리로 접속해도 상관없습니다
스마트폰 메뉴가 상단에 있기때문에
이해를 돕기위해 순서대로 설명했을뿐입니다
전송 경로가 home: 으로 뜨는건 외장스토리지에 연결이 안되어있기
때문입니다
우측상단의 home 탭을 선택후 외장하드로
접속합니다
반대로
외장하드에서 파일을 선택후 이동이나 복사를 클릭하면 경로가 스마트폰 저장소로 지정됩니다.
음악이냐 영화 기타 자료파일들을
스마트폰에서 외장하드로 옮기거나 스마트폰으로 퍼갈때 편리합니다
외장하드로 접속후 파일이 제대로 전송되었는지
확인해봅니다
클라우드로
파일전송을 할때는 클라우드탭을 활성화시킨후 위와같은 방법으로 파일을
전송하면 됩니다.
앱이 쉽게 잘만들어져 있어 초보자라도 그다지 어렵지 않게 할수 있습니다
ES파일 탐색기
앱스토에서 ES
파일 탐색기 앱을 다운받아 설치후 좌측 상단의
바른 연결을 선택합니다
FTP를 선택합니다
FTP 새로 만들기를
선택합니다
SHD-G9 주소와 포트 아이디
비번 인코딩(AUTO) FTP 네임을 설정합니다
클라우드 접속시는 DDNS 주소를
입력합니다
지정한 FTP네임으로 링크가 생성되며, 선택하면
SHD-G9으로 접속됩니다
SHD-G9의 파일들을
보여줍니다
무선(WIFI)외장하드 연결
스마트폰이 다른공유기에 연결되어 있으면
안되므로 SHD-G9으로 연결되어 있는지부터 확인합니다
SHD-G9의 파일들을 보여주며 미디어 파일의 경우 곧바로 재생할수
있습니다
클라우드
연결
클라우드 연결 설정을 하는곳입니다. 앞서도
기술했지만 클라우드를 정상동작 시키기위해서는
공유기 설정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인터넷->SHD-G9 이런 단순 연결이면 DDNS 설정도 간단해지지만
상위로 셋톱박스 전화용 AP기등 다른 종류의
공유기가 설치되어있으면 UPNP기능을 활성화시키거나
포트포어딩, DMZ,SUPERDMZ등을
이용해 DDNS를 인식할수 있도록 설정 해야 됩니다.
통신사 임대장비들중에는 DMZ나,
포트포워딩, UPNP, SUPERDMZ등에 문제가 있는 장비들이
태반이므로
사전에 임대장비의 상태부터 체크를 하는게 좋습니다
SEMA
무선(WIFI) 외장하드 설정
앞서 PC에서 설정하던 공유기 셋팅을 스마트폰에서도 쉽게 할수 있습니다
셋팅방법은 앞서 PC에서 셋팅했던
방법과 동일하며 이미 설정했던 내용들을 그대로 다시 볼수 있습니다
PC없이 스마트폰과 공유기만 가지고 셋팅하려고 할때 이 기능을
이용하면 쉽고 편리하게 셋팅할수 있습니다
앱은 상당히
쉽고 깔끔하게 잘 만들어져 있습니다
초기 설정
메뉴
설치마법사를 이용해 공유기 내부설정을 간단히
진행할수 있습니다
공유기 내부 관리자 계정은 가급적 다른 아이디와 비번으로 변경해서
쓰는게좋습니다
대분의 가정에 광랜이
보급되어있기때문에 공유기들도 인터넷 연결 초기값을 유동 IP로 설정해서 출하합니다
학교나 회사 관공서처럼 고정아이피를 할당하는
환경에서는 고정 IP 항목을 선택후 전산 관리자로부터
할당받은 아이피를 입력해서 사용하면
됩니다
DDNS
설정
이부분이 항상 문제가 되는게 IPTV 시청시
함께 설치되는 임대공유기들이 최상위로
물리게 되는데 UPNP기능도 없는데다가
DMZ나 SUPERDMZ를 설정하면 네트워크가 끊기는등의
불안정한 증세가 많이 발생하며 ,기기를
교체해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항상 문제가
되는게 IPTV 장비들이며 이 부분은 외장스토리지와는 전혀 별개의
문제이므로
IPTV를 무난히
지원하는 사제 공유기로 바꾸는등의 조치를 취해야됩니다
기본 제공 메뉴얼 이외에도 어플내부에 사용설명서가 내장되어 있습니다.
와이파이성능
테스트
2.4G 대역 극도 혼잡 지역인점을 감안하면 무난한
편입니다
(시간때에 따라 혼잡도가 대폭
변하는곳입니다)
1T/1R 무선랜카드 테스트
2T/2R 무선랜카드 테스트



원활한 외장
스토리지 사용을 위한 팁
게임/서버/IP카메라/클라우드등 항상 문제가
되는 부분이 IPTV나 070전화용으로 함께 설치된
장비들입니다. 이
장비들도 아이피 공유기능을 하기때문에 여기에 추가로 공유기를 연결하거나
네트워크 외장
스토리지등을 연결하면 늘상 문제를 일으키곤 합니다
사제품과 달리
임대장비들은 포트포워딩이나 DMZ (SUPERDMZ)등을 설정시 네트워크 불안정을
유발하는 경우가
많고 UPNP기능이 없는게 태반인데다가 장비 특성상 하위로 물릴수 없는등의
복잡한 문제를
안고 있습니다. 이때문에 IPTV와 인터넷전화를 무난하게 사용할수 있는
공유기들이
출시되고 있으며 원활한 외장스토리지의 사용을 위해서는 임대장비는
가급적 피하는게
좋습니다
심지어는 포트포워딩이나 DMZ가 아예
작동안하는 임대장비들도 있기때문에 반드시 확인을 필요로 하며
이런 복잡한
다중공유기 설정은 통신사에 문의해서는 도움을 받기 어렵습니다.
외장하드와는
관련없는 공유기환경의 문제이므로 일차적으로 세마전자 고객지원팀에 문의를 해보거나
공유기 관련
블로거에게 문의를 해보는게 빠릅니다.
[ 총 평 ]
세마전자 스토리링크 SHD-G9은
시대의 요구에 맞게 한걸음
앞서가는
아이디어가 돋보이는 제품이며 나스 HDD
유무선 공유기를 하나로 합친 퓨젼 모델입니다
휴대도 가능하지만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상시
고정으로 놓고 사용하기에 적합한 모델입니다
DDNS를 기본적으로 지원하기때문에 외부에서도 편리하게 접근해 사용할수 있습니다
휴대가 주 목적인분들은 동 제조사의 K9같은 소형 모델이 더 적합하다고 할수
있겠습니다
802.11N 무선 성능과 WPA2PSK 의 보안을 지원하며
관리자/게스트로 분류하여
게스트의 자료 접근을 제한적으로 허용/관리할수 있습니다
USB3.0의 고성능 외장하드 기능은
기본, 여기에 네트워크기능까지 갖춰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동시 사용의
편리함을 제공합니다. 펌웨어는 누구나 쉽게
사용할수 있도록 복잡한 설명이나
기능은 배제하고 최대한 심플하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원격지에서 깔끔한 스마트폰 앱으로 쉽게
편하게 관리할수 있다는것 역시 큰 장점입니다
PC없이 SHD-G9 스토리지와 스마트기기만
쓰려는 분들에게 이러한 와이파이 기능이 있는
외장스토리지는 기존에 체험하지 못했던
편리함을 선사해줄것입니다
짧은 대기모드(1분)로 소비전력 절감에도 신경쓴 제품입니다.
다만, 잦은 접속을 하는 유저들에게는 이 짧은 대기시간이 불편요소로
작용할수도 있으며,
이부분은 개발팀에서 다양한 후기를 종합적으로 피드백시켜 수정 보완해 나갈
예정임을 확인했습니다
여분의 HDD를 가치있게 활용할수 있게 해주는 장비이기도 하지만,
소중한 데이터 보관을 위해서는 가급적 새하드로 장착해서 사용할것을
권장해드리는바 입니다
이 사용기는 (주)세마전자
& 다나와 체험단으로부터 제품을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관리자에게만 댓글 작성 권한이 있습니다.